분류 전체보기 1033

23.08.05 최양업 신부 성지 순례길 안동교고 진안리 성지를 가다

최양업 신부가 선종한 곳 주소 : 경북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600-1 관할 : 문경성당 T; 054) 572 -0531(사제관) 572 - 0532 (수녀원) 팩스 : 572 - 0530 식사 가능 : 사전 예약 가는 길 ; 문경읍에서 수안보 방면 문경새재를 향해서 10분 정도 - 도보 왼쪽 공터에 십자가 진안리 성지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제가 된 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선종한 곳으로 문경시 문경읍에서 문경 관문 방향으로 1km 정도 가면 닿을 수 있다. 소백산맥 자락의 문경 지방과 충청도의 경계지역에 있는 주흘산(1106m), 조령산(1017m), 백화산 (1063m), e대마산(1115m) 등은 이 지방에서 최소봉에 속하는 산들이다. 이 산들 사이에 조령, 이화령, 하늘재 등은 옛날부터 경상도에..

종교 이야기 2023.08.07

23.08.05 최양업 신부 순례길 원주교구 서지골 성지를 가다

서지마을은 1839년 , 기해박해 때에 순교하신 최해성 요한 복자와 최미르지타 복자, 그리고 맣은 선조들이 박해를 피해와 모여 살던 교우촌이다. 최해성 요한의 고향은 충청도 홍주 다래골 (현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 )이며 최양업 신부님의 부친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인과는 7촌 사이의 가까운 친척이기도 하다. 1801년 신유박해로 최요한 할아버지가 귀양을 가게 되자 가족들이 모두 따라가 그곳에서 살다가 더욱 충실한 신앙생활을 위해 서지마을로 이사를 와서 교우촌을 이루고 살았다. 비록 깊은 산속에서 가난하게 살았지만 선교사 신부님께 견진을 받고 더욱 성령이 충만하여 신앙생활에 열성을 다하였고, 어려운 사람을 돕고 착한 생활을 하며 다른 이들의 귀감이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포졸들에게 체포되..

종교 이야기 2023.08.06

23.07.27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홍도 공소에서 아침 미사를 드린 후 유람선을 타고 홍도를 일주 한후 목포로 이동 케이블 카를 타 본 후 고창으로 이동 장어로 저녁식사 하다

23.07.27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홍도 공소에서 아침 미사를 드린 후 유람선을 타고 홍도를 일주 한후 목포로 이동 케이블 카를 타 본 후 고창으로 이동 장어로 저녁식사 하다

종교 이야기 2023.07.28

23.07.01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청주교구 봉암성지(방축골, 개마교우촌)를 돌아보다.

봉암성지는 6명의 순교자들이 살았던 방축골과 계마대 마을에서 시작된 신앙의 줄기이다. 방축골과 계마대 마을은 1850년 전후부터 1866년 까지 천주교인들의 비밀 신앙 공동체였다. 당시 이 마을에는 김백심 암브로시오, 송균명 바오로, 김경장 , 이베드로, 민윤영 프란치스코 가족이 살았다. 방축골과 계마대 마을은 최양업 토마스 신부님께서 사목하며 첫 번째 신학생을 서발한 곳이다. 1866년 12월 병인박해로 마을에 포교들이 들이 닥치면서 마을의 성인 남성들은 대부분 끌려가고 남아있던 가족들은 뿔뿔히 흩어져 피난을 가면서 민윤영 프란치스코, 김백심 암브로시오의 차남 김성회 바오로는 충주에서 순교하였고, 이 베드로는 수원에서 순교하였다. 김백심 암브로시오는 서울로 압송되어 모진 매질과 심문을 받다가 순교하였다..

종교 이야기 2023.07.02

23.07.01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님을따라 가다 잠시 합덕제 연꽃축제를 돌아보았다.

합덕제는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저수지다. 통일신라 말기에 축조한 것으로 전해지며, 1989년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예당평야(소들강문)의 관개(灌漑)를 위한 것으로 봄에는 벚꽃, 유채꽃, 여름에는 연꽃이 만발해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합덕제는 연제(蓮堤), 연지(蓮池)로 불릴만큼 연꽃 명소로 잘 알려져 있다. 근처에 합덕제 생태관광체험센터(2021년 개관)와 합덕 수리민속박물관이 있어 여행할 때 같이 들러보면 좋다.

종교 이야기 2023.07.02

23.07.01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님을 따라 대전교구 남방재 성지를 가다.

019. 9. 29. 15:19 주소 : 충남도 아산시 서부북로 763-42 T; 041) 534 -2324 순례자 미사 : 사전 예약 필요 가는 길 ; 전철. 기차 : 오양온천 하차 - 역 앞 버스 정류장에서 신창면 방향 버스 - 남성리 하차 버스 이용 : 아산 터미널 하차 - 버스 정류장에서 신창면 방향 버스 - 남성리 하차 남방제는 박해 시대의 교우촌 이며, 조윤호 요셉 성인이 태어난 곳이고 조화서 베드로 성인과 여러 순교자들이 사셨던 곳이다. 조윤호 가문은 구교우 집안으로 본디 경기도 수원 도마지에 살았다. 할아버지 조 안드레아가 1839년 기해 박해 때에 순교하고, 할머니 권 윤리아나가 선종하자 아버지 조화서는 남방제로 이주하였다. 여기서 한 막달례나와 결혼하여 조윤호를 낳았다. 조화서는 185..

종교 이야기 2023.07.02

23.07.01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님을 따라 청주교구 배티 성지를 가다

주소 : 충북 진천군백곡면 베티로 663 - 13 T; 043) 533 -5701 F: 553 - 5721 미사 : 화 - 일 . 오전 11시 (월요일 미사 없음 ) 고해성사 : 미사전후 식사 (사전 예악 필요) 가는 길 ; 경부 고속도로 : 안성 분기점(JC) - 남안성 IC - 산압단지 사거리(좌회전, 종합운동장 방향) - 현수 사거리 ( 우회전, 진천 방향) - 마둔 저수지, 석남사, 베티고개, 중앙 CC 경유 - 베티성지 중부 고속도로 : 진천 IC 좌회전 - 신성 사거리 우회전 - 벽암 사거리 우회전, 34번 국도 - 벽곡 면 소재지 베티 안내판 우회전 - 안성 중앙 CC 방향 313번 지방도로 - 베티성지 1976년 9월 성지로 개발된 베티성지에는 1996년 6월 완공된 선당 (최양업 신부 탄..

종교 이야기 2023.07.02

23.07.01 프란치스코 성지순례회원들과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님을 따라 성거산 줄무덤 성지를 가다

경기, 충북, 충남 삼도 접도 구역으로 자리잡고 있는 성거산 성지는 한국의 성지 중에서 보기 드문 해발 579미터 차령산맥 줄기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있는 천헤의 성지이다. 1801년 신유박해로 충청남도 내포 교회가 큰 타격을 받고 1811~1813년에도 연이어 박해가 일어나면서 내포지역에 거주하던 신자들이 인근의 충청도와 경기도, 멀리는 서울과 경상도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박해를 피해이주하기 시작한 신자들로 인하여 7개의 교우촌이 주변에 형성되었고 그중에서 대표적인 교우촌으로 형성된 곳이 바로 '소학골'이다. 그러나 1866년 병인박해부터 1871년 무렵까지 순교자가 계속 되었고 7개의 교우촌이 모두 발각되어 23명의 순교자들을 배출하였다. 박해시기인 1851 ~ 166년 10월까지..

종교 이야기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