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내 성지 (출처- http://www.paxkorea.co.kr)
단천리 사적지 혹은 단내 사적지는 한국에서역사가 가장 오래된 교우촌이고,김대건 신부님의 사목활동지이며, 1866년 병인박해 때 당시 광주 유수부인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정은 바오로(1804-1866년)와 정 베드로 순교자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혀 있는 묘소이다.
한국 교회 안에 처음으로 신부를 모셔온 순교자 윤유일의 묘가 모셔져 있는 어농리 사적지와 불과 몇 리 떨어져 있지 않은 단천리는 한국에 교회가 세워지던 1784년 이전부터 천주교가 들어와 있었던 유서깊은 교우촌이기도 하다. 또한 이천이 고향인 이문우 성인, 이 호영 성인,이 아가다 성녀, 조증이 성녀와 조증이 성녀의 남편으로 이천에서 체포되어 순교하신 남이관 성인 등 5분의 순교성인을 기념하는 성지이다.
신유박해가 지나간 3년 후인 1804년에 태어난 정은 바오로 역시 천주교에 입교하고 그 어머니 허 데레사와 부인 홍 마리아 역시 입교했다. 그들이 살던 이 마을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동산 밑 마을'은 103위 순교 성인 중 한 사람인 이문우 요한의 고향이기도 하다.또 단천리는 최초의 방인 신부인 성 김대건 신부가 머물렀던 은이 마을과는 12킬로미터 남짓 떨어진 곳이기도 하다. 김 신부는 1846년 귀국한 이후 동산 밑 마을을 들러 이곳을 방문,신자들에게 고해 성사를 준 후 바로 이 묘소 앞 오방이 산모퉁이를 지나 배마실 공소를 거쳐 새벽 어스름에 은이 공소로 돌아갔다고 한다.
천지는 민물에 대하여 봄으로써 낳고 가을로써 이루며, 성인은 만민에 대하여 인으로써 낳고 의로써 절제한다. 그러므로 성인이 하늘을 대신하여 만물을 다스려 그 정령과 베푸는데에 한결같이 천지의 웈행애 근본한다. - 정도전/삼봉집
단내성지에서 기념하는 순교자들은 대부분이 가족 순교자들이고,또한 남달리 극진한 가족사랑을 보여준 분들이다. 그래서 단내 성지를 가정성화를 위해 순례하는 성가정 성지로 관리하고 있다.
정은 바오로의 집안은 동래 정씨로 그 조부 시절부터 실학 사상의 영향을 입고 일찍이 서학에 접했으며 이미 정은 바오로가 태어나기도전에 사촌형인 정섭과 정옥이 신앙을 갖고 있었으며 순교의 모범을 보여 준 바 있다.
1866년 병인박해의 회오리는 이 마을에도 휘몰아쳤고 포졸들은 정은 바오로를 붙잡기 위해 매봉에 숨어 망을 보았고 당시 63세의 노인이었던 그는 추운 겨울날 낮이면 마을 뒤 '검은 바위' 밑 굴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면 내려와 잠을 자고 또 올라갔다. 그러나 결국 그는 포졸들에게 체포됐고 남한산성까지 가파른 산길로 끌려갔다. 이때 그의 종손자 정 베드로가 그의 체포 소식을 듣고 자진하여 천주교인임을 고백하고 함께 잡혀갔다고 한다.한 달여를 남한산성에 갇혀 배교를 강요당했으나 이에 굴하지 않은 두 사람은 그 해 음력 12월 8일 얼굴에 물을 뿌리고 백지를 덮어 숨이 막히게 해 죽이는 백지 사형으로 순교의 영광을 얻었다. 그들이 순교한 뒤 시체는 남한산성 동문 밖으로 시구문을 통해 던져졌는데 가족들이 몰래 그의 시신을 찾아 이곳에 안장했다. 그러나 종손자 정 베드로는 당시 함께 순교한 수많은 시신들 틈에 섞여 미처 찾아오지 못했다.
'종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02.04 그대가 세상에 온 목적 (0) | 2017.09.23 |
---|---|
17.03.25 우리 꾸리아 단원들과 함께 남한산성 순교 성지를 가다 (0) | 2017.09.23 |
14.10.20 광주 쌍촌동 성당 교우글과 곡성 성지(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박경리'토지 문학관을 가다. (0) | 2017.09.06 |
14.09.20 kt 영상 동호회원들과 솔뫼성지, 혜미읍성을 가다 (0) | 2017.09.01 |
2017.08.21 존주 성범 - 그리스도를 본받아 주님이 찾아오는 시림 (0) | 2017.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