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와 월승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의 중수비(重修碑) 및 그 제방.
전북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에서 월성리에 이르기까지 제방이 남아 있는 백제시대의 저수지. 사적 제111호. 우리 나라 최대의 고대 저수지로 백제의 11대 비류왕 27년(330)에 축조된 것으로 당시 토목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김제시 포교리와 월승리 일대의 저수지를 ‘벽골제(碧骨堤)’라고 하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적은 농업 국가로서 일찍부터 벼농사를 위해 수리 시설을 갖추었던 조상의 슬기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벽골제에 대한 연혁을 살펴보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330년(신라, 흘해왕 21)에 공사를 시작해 790년(신라, 원성왕 6)에 증축했다고 했고, 『동국여지승람』과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고려 현종 및 인종 때와 조선 1415년(태종 15)에 개축했다고 했다.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를 기점으로 하여 남쪽으로 월승리에 이르는 평지에 남북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약 3㎞에 달하는 제방이 현재 남아 있다. 부수 시설로는 제방의 남단 수문지였던 경장거(經藏渠)와 북단 수문지였던 장생거(長生渠), 그리고 중앙 수문지였던 거대한 석주(石柱)들이 우뚝 서 있다.
1925년 일제에 의한 동진농지개량조합에서 이 제방을 농지 관개용의 간선수로로 개조해 제방의 폭이 두개로 갈라졌으며, 양분된 제방의 중앙을 수로로 만들어 농업 용수를 흐르게 한 탓에 원형이 크게 손상되었다.
1975년에 실시된 일부의 발굴 조사에 의하면 제방의 높이는 북단이 4.3m이고, 남단이 3.3m이다. 수문의 구조는 길이 5.5m의 석주를 4.2m 간격으로 세우고 석주의 안쪽에 너비 20㎝, 깊이 12㎝의 홈〔凹溝〕을 만들어 여기에 목제 둑판을 넣고 상하로 이동시켰는데, 방수량(放水量)을 조절한 것으로 짐작된다.
수문 밖에 마련된 방수로(放水路)는 양쪽에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장방형의 큰 석괴(石塊)를 사용해 대규모의 석축을 하였다. 수로의 바닥에는 대반석(大盤石)과 같은 석괴들을 깔아 웬만한 방수량에도 잘 견딜 수 있게 하였다.
제방은 세 번에 걸쳐서 판축되었는데, 판축토 아래에 두께 2㎝ 정도의 흑색 식물 탄화층이 있었다. 이 탄화물로 세 차례에 걸쳐 방사성탄소 측정(放射性炭素測定)을 해본 결과 4세기라는 결과가 나와 문헌의 기록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발굴 결과 벽골제는 부분적인 개수 공사는 있었다 할지라도 전장 3㎞에 달하는 제방과 수문 석주 및 그 전면의 호안석축(護岸石築)들은 시축(始築) 때부터 현재처럼 거대한 규모였음이 밝혀졌다.
제방의 북쪽 기점인 포량리 근처의 초혜산(草鞋山, 신털뫼) 정상 남단에 벽골제중수비가 세워져 있다. 석비의 크기는 높이 6.4척, 너비 3.4척으로 점판암제(粘板巖製)인데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능하다.
이곳은 4세기 삼국 사회의 토목, 측량, 석공 등 여러 기술의 발달 수준을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사적 제111호에 지정되었다.
별의 아픔 / 남궁벽
님이시여, 나의 님이시여, 당신은 / 어린 아이가 뒹굴을 때에 / 감응적으로 깜짝 놀라신 일이 없으십니까. /
암니시여, 나의 임이시여, 당신은 / 세상 사람들이 지상의 꽃을 비틀어 꺽을 때에 / 천상의 별이 아파한다고는 생각지 않으십니까./
지상의 꽃은 천상의 멸일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9.14 순천 정원 박람회에 가다. (0) | 2017.08.31 |
---|---|
14.09.13 경북 예천 회룡포를 가다. (0) | 2017.08.31 |
14.08.23 통영 이야기길을 가다. (0) | 2017.08.31 |
14.07.18-19 교장 연수 동기들과 진도 여행을 하다. (0) | 2017.08.30 |
14.06.28 정준진 부부와 담양 대나무 축제에 가다. (0) | 2017.08.30 |